‘왕좌의 게임’이 지배한 2019 에미 어워드 후보 공개
어제 오전 (현지시각) 2019년 에미상 후보가 발표됐다. [왕좌의 게임] 마지막 시즌이 32개 부문 지명으로 단일 프로그램 최다 후보 지명 기록을 세웠다. 그 외에 [체르노빌], [배리] 등의 선전으로 HBO는 후보 지명만 137개를 기록하며 작년 넷플릭스에 뺏긴 채널/플랫폼 별 후보 지명 1등을 되찾았다. 넷플릭스는 후보 지명 117개로 뒤를 이었다. 에미상 본상 시상식은 우리나라 시각 기준으로 9월 23일 열린다.
각 분야별 후보를 자세히 살펴본다.
드라마 시리즈

[왕좌의 게임]은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화려하게 장식했다. 마지막 시즌은 무려 후보 지명만 32개를 받아 1995년 [NYPD 블루]가 세운 24개를 넘었다. 키트 해링턴과 에밀리아 클라크가 최초로 주연상 후보 지명을 받았으며, 남우조연상 후보는 세 명, 여우조연상 후보는 네 명을 배출하며 수상 기대를 높였다. 작년에 인지도 부족으로 에미상에서 돋보이지 못했던 [킬링 이브]는 올해 작품상 후보에 올랐을 뿐 아니라 산드라 오, 조디 코머, 피오나 쇼가 연기상 후보 지명을 받았다. [포즈] 빌리 포터는 공개 커밍아웃한 동성애자로는 최초로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.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[보디가드]는 작품상 후보에는 올랐으나, 리처드 매든이 연기상 후보 지명을 받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.
드라마 시리즈 작품상
- 베터 콜 사울 (AMC)
- 보디가드 (BBC/NETFLIX)
- 왕좌의 게임 (HBO)
- 킬링 이브 (BBC America)
- 오자크 (NETFLIX)
- 포즈 (FX)
- 석세션 (HBO)
- 디스 이즈 어스 (NBC)
드라마 시리즈 남우주연
- 제이슨 베이트먼 (오자크)
- 스털링 K. 브라운 (디스 이즈 어스)
- 키트 해링턴 (왕좌의 게임)
- 밥 오덴커크 (베터 콜 사울)
- 빌리 포터 (포즈)
- 마일로 벤티밀리아 (디스 이즈 어스)
드라마 시리즈 여우주연
- 에밀리아 클라크 (왕좌의 게임)
- 조디 코머 (킬링 이브)
- 바이올라 데이비스 (하우 투 겟 어웨이 위드 머더)
- 로라 리니 (오자크)
- 맨디 무어 (디스 이즈 어스)
- 산드라 오 (킬링 이브)
- 로빈 라이트 (하우스 오브 카드)
드라마 시리즈 남우주연
- 알피 알렌 (왕좌의 게임)
- 니콜라이 코스터-왈도 (왕좌의 게임)
- 피터 딩클리지 (왕좌의 게임)
- 조나단 뱅크스 (베터 콜 사울)
-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(베터 콜 사울)
- 마이클 켈리 (하우스 오브 카드)
- 크리스 설리반 (디스 이즈 어스)
드라마 시리즈 여우조연
- 그웬돌린 크리스티 (왕좌의 게임)
- 레나 헤디 (왕좌의 게임)
- 소피 터너 (왕좌의 게임)
- 메이지 윌리암스 (왕좌의 게임)
- 줄리아 가너 (오자크)
- 피오나 쇼 (킬링 이브)
드라마 시리즈 특별출연 (남자)
- 마이클 안가라노 (디스 이즈 어스)
- 론 셰퍼스 존스 (디스 이즈 어스)
- 마이클 맥킨 (베터 콜 사울)
- 쿠마일 난지아니 (환상특급)
- 글렌 터먼 (하우 투 겟 어웨이 위드 머더)
- 브래들리 윗포드 (핸드메이즈 테일)
드라마 시리즈 특별출연 (여자)
- 레버른 콕스 (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)
- 셰리 존스 (핸드메이즈 테일)
- 제시카 랭 (아메리칸 호러 스토리: 아포칼립스)
- 필리시아 라샤드 (디스 이즈 어스)
- 시실리 타이슨 (하우 투 겟 어웨이 위드 머더)
- 카리스 반 호튼 (왕좌의 게임)
리미티드 시리즈 / TV영화

리미티드 시리즈와 TV 영화 분야는 올해 화제작이 많았던 만큼 모든 부문에서 경쟁이 치열하다. 그 중 [체르노빌]은 비평가와 관객 모두의 찬사를 받으면 몇 달 동안 화제가 된 만큼 올해의 작품이 될 가능성이 높다. ‘센트럴 파크 파이브’ 실화 사건을 다룬 [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] 또한 공개 이후 뜨거운 논란을 이끌면서 여러 분야에서 후보 지명을 받았다. 남우주연상 부문이 가장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데, 아카데미상 수상자 3인을 비롯한 ‘연기신’들이 포진한 가운데 [문라이트]로 데뷔한 20대 배우 자럴 제롬의 이름이 돋보인다.
리미티드 시리즈 작품상
- 체르노빌 (HBO)
- 이스케이프 앳 댄모라 (Showtime)
- 포시/버돈 (FX)
- 샤프 오브젝트 (HBO)
- 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 (NETFLIX)
TV 영화
- 밴더스내치 (블랙 미러) (NETFLIX)
- 브렉시트 (Showtime)
- 데드우드 (HBO)
- 리어 왕 (Amazon Prime)
- 허브와의 저녁 식사 (HBO)
리미티드 시리즈/TV영화 남우주연
- 마허샬라 알리 (트루 디텍티브)
- 베니시오 델 토로 (이스케이프 앳 댄모라)
- 휴 그랜트 (베리 잉글리시 스캔들)
- 자레드 해리스 (체르노빌)
- 자럴 제롬 (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)
- 샘 록웰 (포시/버돈)
리미티드 시리즈/TV영화 여우주연
- 에이미 아담스 (샤프 오브젝트)
- 패트리샤 아퀘트 (이스케이프 앳 댄모라)
- 언자누 엘리스 (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)
- 조이 킹 (더 액트)
- 니시 내쉬 (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)
- 미쉘 윌리엄스 (포시/버돈)
리미티드 시리즈/TV영화 남우조연
- 아산테 블랙 (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)
- 존 레귀자모 (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)
- 마이클 K. 윌리엄스 (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)
- 폴 다노 (이스케이프 앳 댄모라)
- 스텔란 스카스가드 (체르노빌)
- 벤 휘쇼 (베리 잉글리시 스캔들)
리미티드 시리즈/TV 영화 여우조연
- 패트리샤 아퀘트 (더 액트)
- 패트리샤 클락슨 (샤프 오브젝트)
- 마샤 스테파니 블레이크 (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)
- 베라 파미가 (그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)
- 마가렛 퀄리 (포시/버돈)
- 에밀리 왓슨 (체르노빌)
코미디 시리즈

지난 한 해 작품성과 인기를 모두 잡은 코미디가 쏟아져 나온 것이 에미상 후보 명단에 잘 드러난다. 마지막 시즌을 방영한 [빕]이 작품상을 쉽게 가져가기 어려울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. 코미디 시리즈 분야는 이변의 주인공이 둘이나 있다. 하나는 피비 월러-브리지가 주연/제작을 맡은 [플리백]으로 연기상 후보 5인을 비롯해 총 9개 부문에 총 11개의 후보 지명을 받았다. 시즌 1을 공개한 2016-17년엔 후보 지명에 실패한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성과다. 더 놀라운 건 [쉬트 크릭]이다. 2015년 처음 방영했지만 그동안 후보 지명도 한 번도 받지 못했는데, 올해 방영된 시즌 5로 작품상과 남녀주연상 등 4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. [쉬트 크릭]은 방영 채널 Pop!에도 첫 에미상 후보 지명의 영광을 안겼다.
코미디 시리즈 작품상
- 배리 (HBO)
- 플리백 (Amazon Prime)
- 굿 플레이스 (NBC)
- 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 (Amazon Prime)
- 러시아 인형처럼 (NETFLIX)
- 쉬트 크릭 (CBC/Pop!)
- 빕 (HBO)
코미디 시리즈 남우주연상
- 앤서니 앤더슨 (블랙-이쉬)
- 돈 치들 (블랙 먼데이)
- 테드 댄슨 (굿 플레이스)
- 마이클 더글라스 (코민스키 메소드)
- 빌 헤이더 (배리)
- 유진 레비 (쉬트 크릭)
코미디 시리즈 여우주연
- 크리스티나 애플게이트 (데드 투 미)
- 레이첼 브로스너핸 (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)
- 줄리아 루이-드라이퓌스 (빕)
- 나타샤 리온 (러시아 인형처럼)
- 캐서린 오하라 (쉬트 크릭)
- 피비 월러-브리지 (플리백)
코미디 시리즈 남우조연상
- 앨런 아킨 (코민스키 메소드)
- 앤서니 캐리건 (배리)
- 스티븐 루트 (배리)
- 해리 윙클러 (배리)
- 토니 헤일 (빕)
- 토니 샬룹 (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)
코미디 시리즈 여우조연상
- 알렉스 보어스틴 (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)
- 마린 힝클 (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)
- 올리비아 콜맨 (플리백)
- 시안 클리포드 (플리백)
- 애나 클럼스키 (빕)
- 베티 길핀 (글로우)
- 사라 골드버그 (배리)
- 케이트 맥키넌 (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)
코미디 시리즈 특별출연 (남자)
- 맷 데이먼 (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)
- 로버트 드 니로 (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)
- 존 멀레이니 (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)
- 아담 샌들러 (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)
- 루크 커비 (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)
- 루퍼스 스웰 (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)
- 피터 맥니콜 (빕)
코미디 시리즈 특별출연 (여자)
- 제인 린치 (마블러스 미세스 메이즐)
- 산드라 오 (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)
- 엠마 톰슨 (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)
- 마야 루돌프 (굿 플레이스)
- 크리스틴 스콧 토마스 (플리백)
- 피오나 쇼 (플리백)
리얼리티 / 버라이어티

리얼리티와 버라이어티 쇼 부문엔 넷플릭스의 선전이 돋보인다. 넷플릭스는 심야토크쇼, 스케치 코미디 분야를 제외한 주요 부문에 골고루 이름을 올렸다. 그중 가장 돋보이는 이름은 정리컨설턴트 ‘곤도 마리에’로, 일본인으로는 최초로 리얼리티/리얼리티 경쟁 프로그램 진행자 후보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. 버라이어티 스페셜 (사전녹화) 부문 후보 5편 중 4편은 넷플릭스 작품이다. 작년 한해 전 세계에서 화제가 된 해나 개즈비의 코미디 스페셜 [나의 이야기], 비욘세의 코첼라 뮤직 페스티벌 공연과 준비 과정을 담은 [비욘세의 홈커밍] 등이 포진해 있다.
리얼리티 경쟁 프로그램
- 어메이징 레이스 (CBS)
- 닌자 워리어 (CBS)
- 파티쉐를 잡아라 (NETFLIX)
-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(VH1)
- 탑 셰프 (BRAVO)
- 보이스 (NBC)
리얼리티 / 리얼리티 경쟁 진행자
- 제임스 코든 (월즈 베스트)
- 엘렌 드제너러스 (게임 오브 게임스)
- 곤도 마리에 (곤도 마리에: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)
- 에이미 폴러 & 닉 오퍼먼 (메이킹 잇)
- 루폴 (루폴의 드래그 레이스)
리얼리티 프로그램 (구조화)
- 앤티크 로드쇼 (PBS)
- 다이너스, 드라이브 인스 앤 다이브스 (Food Network)
- 퀴어 아이 (NETFLIX)
- 샤크 탱크 (ABC)
- 곤도 마리에: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 (NETFLIX)
- 후 두 유 씽크 유 아 (TLC)
리얼리티 프로그램 (비구조화)
- 본 디스 웨이 (A&E)
- 데들리스트 캐치 (Discovery Channel)
- 라이프 빌로우 지로 (National Geographic)
- 루폴의 드래스 레이스: 꺼내봐! (VH1)
- 필이 좋은 여행, 한입만! (NETFLIX)
- 유나이티드 셰이즈 오브 아메리카 위드 W. 카마우 벨 (CNN)
심야 토크쇼
- 데일리 쇼 위드 트레버 노아 (Comedy Central)
- 풀 프론탈 위드 사만다 비 (Comedy Central)
- 지미 키멜 라이브 (ABC)
- 라스트 위크 투나잇 위드 존 올리버 (HBO)
- 레이트 레이트 쇼 위드 제임스 코든 (CBS)
- 레이트 쇼 위드 스티븐 콜베어 (CBS)
스케치 코미디 작품상
- 앳 홈 위드 에이미 세더리스 (truTV)
- 다큐멘터리 나우! (IFC)
- 드렁크 히스토리 (Comedy Central)
- 아이 러브 유, 아메리카 위드 사라 실버맨 (Hulu)
-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(NBC)
- 후 이즈 아메리카 (Showtime)
버라이어티 스페셜 (사전녹화)
- 카풀 노래방: 폴 맥카트니 편 (CBS)
- 해나 개즈비: 나의 이야기 (NETFLIX)
- 비욘세의 홈커밍 (NETFLIX)
- 스프링스틴 온 브로드웨이 (NETFLIX)
- 완다 사익스: 정상이 아니야 (NETFLIX)
인포머셜 시리즈/스페셜
- 앤서니 보데인: 파츠 언노운 (CNN)
- 사인펠드와 함께 커피 드라이브 (NETFLIX)
- 레아 레미니: 사이언톨로지 앤 애프터매스 (A&E)
- 오늘의 게스트,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: 데이비드 레터맨 쇼 (NETFLIX)
- 서바이빙 R. 켈리 (Lifetime)
